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간편 전기장판 버리는 방법

금융 대출 지원 서포터즈 2022. 11. 4. 01:07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작년 이맘때 즈음 구석에 넣어 둔 전기장판을 다시 꺼낼 때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무슨 일인지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제품 특성상 대게 A/S 보다는 버리고 새 제품을 구매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전기장판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노후-전기-장판
노후 전기장판

 

간편 전기장판 버리는 방법

 

 

 

오랜만에 꺼낸 전기장판이 너무 오래돼서 사용하기 불안하시거나 작동이 뭔가 잘 안되고 그러시면 과감히 버리고 새 제품 구매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굳이 불안한 전기장판을 더 오래 사용하다 열선 꼬임과 같은 문제로 화재가 발생하거나 2차 사고 발생과 같이 더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전기장판은 어떻게 버리는 것이 좋을까요. 누구나 생각하기에 쓰레기는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전기장판은 경우에 따라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전기장판은 복합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화재-위험
화재 위험

1인용 2인 이상 버리기 차이

1인용 전기장판은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으니 일반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것이 가장 쉽고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2인 이상 크기의 전기장판은 부피가 커서 종량제 봉투에 넣을 수가 없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민센터나 구청 등 지자체에 신고를 하고 버려야 합니다.

 

관할-지자체-바로가기

 

단, 지자체별로 수거 품목이 다르고 가격이 상이할 수 있으니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자체별로 비용은 상이하지만 크기에 따라서 4,000원~7,000원 정도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구매 가격에 비해 버리는 비용이 조금 비싼 편이네요. 앞으로 전기장판 구매할 때 조금 더 신경 써서 구매해야겠다는 생각을 절로 들게 합니다. 

 

전기장판-처리-단가
전기장판 처리 단가

수거 문의 방법

직접 전화 문의를 할 수도 있지만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대형폐기물을 검색하시면 인터넷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사용이 편하신 분이라면 홈페이지에서 신청을 하시고 그것도 답답하다 싶으신 분들은 직접 방문하셔서 스티커를 떼 오시는 게 제일 속 편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스티커를 직접 구매하시고 전기장판에 부착 한 뒤, 지정 장소에 갖다 놓으면 전기장판 버리기 완료입니다. 아파트 거주하시는 분들은 관리 사무소에 문의하시면 친절히 설명해 주시기도 하니 이 부분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래 된 전기장판 처리방법 가르쳐드렸으니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 부탁드립니다.